티스토리 뷰
협심증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1. 협심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부위 불쾌감과 통증입니다.
2. 협심증의 불쾌감은 보통 '가슴이 무겁다', '가슴을 누르는 듯하다', '가슴을 쥐어짜는 듯하다', '가슴 위에 돌을 올려놓는 것 같다' 등의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3. 통증은 '아프다', '가슴이 타는 듯하다', '가슴이 쑤신다' 등의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4. 몇몇의 환자들은 통증 없이 호흡곤란이나 모호한 불안감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5. 증상의 위치는 주로 흉골 후방에 위치합니다.
6. 하지만 대부분은 위치를 정확히 짚지 못합니다..
7. 방사통이 나타납니다. 즉 통증이 목, 턱, 치아, 팔, 어깨, 상복부 등에 방사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부위들의 감각을 지배하는 신경이 심장을 지배하는 신경과 같은 부위에 나오기 때문입니다.
8. 몇몇 협심증은 가슴의 통증 없이 방사통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9. 배꼽 이하의 통증 그리고 등으로 방사되는 통증은 협심증이 아닐 경우가 많습니다.
10. 통증은 운동 후에, 과식 후에 심해집니다.
11. 협심증 증상은 정신적으로 흥분할 경우 악화됩니다.
12. 협심증 증상은 쉬거나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혈관 확장제를 사용한 후에 수 분 이내에 좋아집니다.
13. 협심증 증상은 보통 2분 이상 10분 미만으로 지속됩니다. 몇 초동안 지속되는 빨리 지나가는 통증은 협심증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몇 시간동안 계속 되는 가슴통증도 협심증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협심증 증상은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1. 협심증 증상은 심장이 필요한 산소만큼 혈액이 공급을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2. 심장의 산소 요구량과 혈액이 제공하는 산소 공급량의 불균형 때문에 허혈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3. 심장이 허혈되는 가장 큰 이유는 동맥경화에 의한 관상동맥(심장 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폐쇄입니다.
4. 신체적 스트레스나 정신적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산소 요구량이 높아지게 되고 불균형에 빠져 협심증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열이 나는 경우에도 심장이 요구하는 산소 요구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산소 공급량이 떨어져서 협심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과식, 빈혈, 저산소증, 저혈압 등이 있습니다.
6. 판막질환에 의해 심장이 커지거나, 비후성 심근병증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고혈압이 나타나게 되면 관상동맥의 혈류 장애가 나타나 협심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협심증과 불안정성 협심증 심근경색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세 질병 모두 관상동맥이 좁아져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병이며, 일종의 스펙트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협심증-불안정성 협심증-심근경색 순으로 심각한 병입니다.
협심증과 불안정성 협심증은 증상에 따라 구분합니다.
불안정성 협심증이 협심증과 다른 3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아래 세가지 중 하나에 해당된다면 불안정성 협심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New onset angina : 1달 안에 새로 협심증 증상이 발생한 경우
2. Crescendo angina : 협심증 증상의 빈도가 잦아지거나 증상의 세기가 세지거나 니트로글리세린에 반응이 없는 경우
3. Rest angina : 쉬어도 협심증 증상이 발생한 경우
불안정성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 효소 수치가 올랐는지 혈액검사를 통해 구분합니다.
심근경색과 불안정성 협심증 증상은 어떻게 되나요?
1. 불안정성 협심증은 협심증에서와 비슷한 양상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증상은 흉부 불쾌감과 통증이며, 통증의 위치 흉골안쪽이고 목, 턱, 팔, 상복부 까지 방사됩니다. 통증은 누르는 듯하고, 주이는 듯하고, 쥐어짜는 듯하고, 타는 듯한 양상입니다.
2. 하지만 불안정성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협심증보다 더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3. 협심증의 통증 지속시간이 2분에서 10분인 반면에 불안정성 협심증은 10분에서 20분 지속됩니다. 심근경색의 지속시간은 다양하며 대개 30분 이상 지속됩니다.
4. 협심증에서는 휴식을 하면 증상이 좋아졌으나 불안정성 협심증에서부터는 휴식을 취해도 증상이 지속됩니다.
5. 잠에서 깨어날 때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협심증에서는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으로 협심증 증상이 호전이 되었으나 불안정성 협심증부터는 니트로글리세린을 사용하더라도 증상이 미미하게 좋아지거나 아예 반응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7. 식은땀이나거나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8. 속이 메스껍고 아찔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9. 심할 경우에는 폐울혈이나 심지어는 폐부종을 초래해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과 불안정성 협심의 신체검사에서 어떤 이상소견이 있나요?
1. 신체검사에서 완전히 정상일 수 있습니다.
2. 심장의 수축기와 이완기의 기능이 떨어져있기 때문에 청진으로 제 3,4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립성 저혈압 증상 치료 정리 (0) | 2021.02.07 |
---|---|
허리디스크 운동 추천 (0) | 2021.02.07 |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 치료법 정리 (0) | 2021.02.05 |
방광암 초기증상 생존율 정리 (0) | 2021.02.03 |
췌장암 3기 4기 생존율 정리 (0) | 2021.02.03 |